1. grain : 그레인
본래 곡식의 낱알을 의미하는 단어로 영국에서 제정된 야드, 파운드법(法)에서의 최소 질량단위이다.
기호는 gr. 상용(常用) 또는 트로이식 형량(troy weight)의 어느 단위에도 같은 값이다. 따라서 상용의 경우, 상용 파운드의 1/ 7,000(64.799mg), 트로이의 경우는 트로이파운드의 1/ 5,670(64.799mg)이다. 관습적으로는 진주용(眞珠用)으로 0.77 상용 그레인(49.90mg)인 것도 있다. 그레인은 본래 ‘곡식의 낟알’을 뜻하며, 16세기에 영국에서 제정되었다.
-네이버 백과사전-
2. diffusion : 확산 [擴散]
밀도 차이나 농도 차이에 의해 물질을 이루고 있는 입자들이 스스로 운동하여 농도(밀도)가 높은 쪽에서 농도(밀도)가 낮은 쪽으로 액체나 기체 속을 분자가 퍼져 나가는 현상.
물이 담겨져 있는 컵에 잉크를 한 방울 떨어뜨리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잉크가 퍼져 나가 섞이면서 물 전체가 균일한 색을 나타내게 된다. 이것을 확산이라 하며 액체, 기체, 공기가 없는 진공 속에서 관찰 할 수 있다.
물에서 보다는 공기 중에서 확산 속도가 빠르고, 공기보다는 진공 속에서 확산 속도가 빠르다. 또한 물질이 퍼져 나가는 속도, 즉 확산 속도는 분자의 무게가 가벼울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빠르다.
방안에 꽃향기나 방향제의 향기가 퍼져나가는 것, 대기나 해수가 일정한 조성을 가지는 것, 흙 속과 식물체 내의 농도차에 의해 물이 이동해가는 삼투 현상도 확산이라 볼 수 있다.
질량이 다른 두 물질의 확산 속도 - 염화수소(HCl)와 암모니아(NH3)의 확산
유리관의 양쪽 끝에 진한 염산(염화수소 기체의 수용액)과 진한 암모니아수(암모니아 기체의 수용액)를 묻힌 솜을 동시에 넣고 고무 마개로 막아 두면, 진한 염산 가까운 쪽에 흰 연기가 생기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즉,가벼운 암모니아 기체가 무거운 염화수소 기체보다 더 빨리 퍼져 나가기 때문에 염산 쪽 가까이에서 반응이 일어나며 흰연기인 염화암모늄(NH4Cl)이라는 물질이 생성된다.(분자량-HCl:36.5 NH3:17)
그레이엄의 확산 속도의 법칙
1831년 영국의 화학자 그레이엄(Graham)은 실험을 통하여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확산 속도(V)는 분자량(M)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는 그레이엄의 확산 속도의 법칙을 발표했다.이 법칙은 밀도를 넣어도 성립되며, 분자량이 작고 밀도가 작을수록 확산 속도가 빠름을 알 수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3. 알루미늄 알루미나? :
알루미늄 :
주기율표 3B족에 속하는 금속원소로,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원소기호 Al
원자번호 13
원자량 26.9815
녹는점 660.4℃
끓는점 2467℃
비중 2.70(20℃)
알루미늄의 지각 내 조성
알루미늄은 지구의 지각을 구성하는 주요원소로써 8%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매장량은 철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고 알려져 있다.
알루미늄의 용도
알루미늄의 가벼운 특성을 이용해 항공기, 선박,차량의 주요재료로 사용되고 전기의 양도체인 점을 이용하여 송전선을 만든다. 또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식품공업이나 식기류 등을 만들기도 하며 그밖에도 페인트, 건축재료 및 원자재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잘 늘어나는 성질(연성)이 있어서 매우 얇게 만들 수 있으므로 주방용 호일이나 인쇄판, 고급포장용지, 통신장비, 반도체 및 컴퓨터의 전기, 전자부품, 레저용품 등을 만드는 등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알루미나 : 산화알루미늄 [酸化-, aluminum oxide]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
공업적으로는 알루미나라고도 한다. 화학식 Al2O3. 분자량은 101.96이다. 천연으로는 결정광물인 코런덤으로 산출되고, 또 순수한 코런덤이 착색된 루비와 사파이어도 있다.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진 것이 알려져 있는데, 수산화알루미늄을 300℃ 이하로 가열하면 생기는 α-산화알루미늄은 순수하고 가장 안정된 형태이다. 이밖에 알칼리를 약간 함유하는 β-산화알루미늄수화물을 탈수하여 생기는 결정성이 나쁜 -산화알루미늄이 있으며, 또 δ, ζ, η, θ, κ, x, ρ, 등도 알려져 있다.